사료계수 - 증용량
증용량이라는 것은 수확 시의 증량 즉 양식장에서 최종 수확했을 때에 중량에서 방향시의 중량 최초의 치어를 양식장에 풀어놨을 때의 무게가 있겠죠.
그때 무게를 빼는 게 증중량이 되겠죠. 얼마만큼 무게가 늘어났느냐 중6량분의 그다음에 사료 공급량 몇 kg의 사료를 사용했느냐 사료 공급량이 되겠고요. 사료 효율은 사료 효율은 사료 계수 분의 1 곱하기 100을 하면 사료 효율이 됩니다.
그래서 사료 공급량분의 다시 얘기하면 중량 곱하기 100을 하면 사료 효율이 된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00kg의 잉어에 100kg의 잉어에 1천kg의 사료를 먹여 그러면 사료 공급량은 1천kg이 되겠죠.
100kg의 잉어 이거는 방향 시 무게가 되겠죠. 방향 광양시 무게가 되겠고 725kg으로 성장했으니까 이거는 수확 시의 무게가 되겠죠. 성장 기술 때 사료 기수와 사료의 효율은 사료 계수는 증용량이니까 수확했을 때 725kg에서 방향했을 때 100kg을 빼게 되면 근데 수험생 여러분 착각하지 말아야 되니까 725kg짜리 잉어는 없죠.
그러니까 전체 양을 얘기하는 겁니다. 100kg이라는 것은 100kg이라는 것은 마리스에 상관없이 처음에 방향했을 때 한 수조의 한 수조의 잉어의 전체 무게를 재보니까 100kg이었고 수확 시에 전체 잉어의 무게를 재보니까 725kg이었다라는 의미입니다.
거기에 사료 공급량을 사료 공급량 1천kg을 해주면 사료 계수는 1.6이 나오죠 1.6 아까 1에 가까울수록 사료의 효율이 높다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1.6이 되고요 사료의 효율은 그러면 사료 계수 분의 1 곱하기 100이기 때문에 62.5%가 나옵니다. 그래서 사료효율은 62.5%다 그래서 사료 계수와 사료 효율 사료 효율에 대한 문항이 시험 문제의 본 수능에서 간간히 출제가 되고 있는 중요한 내용 요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반드시 사료 계수
어떻게 구하는지 그다음에 사료 효율은 어떻게 구하는지 그다음에 사료 계수가 가지는 의미가 어떤 건지에 대해서 반드시 여러분들이 이해를 하고 개념 정리가 필요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여기까지 사료 계수에 대해서 알아봤고요.
어류성장의 핵심 - 사료의 공급방법
그러면 각각의 대상 생물에 대해서 그러면 사료는 어떻게 공급을 해주는 게 효과적인지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료 공급 방법을 보면요. 사료를 먹는 양은 양식 동물의 종류와 크기 및 수온에 따라서 달라지겠죠.
어류의 1일 사료 공급량은 몸무게에서 몸무게의 보통 15% 15%까지 주는데 보통은 2~3%를 먹이 공급량으로 산정해서 공급을 하고 있다.
뱀장어 미꾸라지 등의 치어기 공급량은 굉장히 빠른 속도로 크고 먹이를 섭취하는 양이 굉장히 좋습니다. 그래서 공급량은 몸무게의 10~20%까지 주고 있고요 한 번에 주는 먹이 양은 포식하는 양의 70에서 80%까지 주는 게 효과적이다.
사료 효율을 높이고 건강한 오류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치어기에서는 한꺼번에 많은 양을 주지 말고 조금씩 자주 공급해 주는 게 중요하다. 수온 상승과 어류가 성장하면 먹이 주는 횟수와 시간이 중요하는데요.
이른 아침과 해질 무렵에는 사료를 충분히 공급해 주어야 성장시키는데 성장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어종에 따라서 먹이 주는 횟수는 송어 메기 뱀장어 등은 1일에 한 번에서 세 번 정도 공급을 해주고요 잉어는 위가 없으므로 여러 번 나누어 공급해주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사료 공급에 방법까지 정리를 해봤습니다.
양식생물의 질병
다음은 양식 생물이 가지고 있는 질병, 즉 많은 양의 생물을 한 수조에서 가두어서 기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질병과 질병에 노출된 또는 오염에 의해서 병에 걸릴 확률이 높은데요. 양식 대상 생물을 가두어서 기르기 때문에 어떤 질병이 질병이 발생되면 굉장히 물 속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전파력이 굉장히 셉니다. 그래서 질병의 가장 중요한 것은 질병에 걸리지 않는 그러한 환경 조건을 만들어주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죠.
다음 포스팅에서 질병에대해 계속 이어가겠습니다.
'선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식생물의 질병의 원인 (0) | 2023.03.08 |
---|---|
양식생물의 질병 (0) | 2023.03.08 |
배합사료와 사료계수 (0) | 2023.03.08 |
폐쇄적 양식장 (0) | 2023.03.08 |
순환여과식 양식장의 환경특성 (1)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