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박

순환여과식 양식장의 환경특성

 이번 포스팅에서는 폐쇄적 양식장 즉 순환여과식 양식장의 물리적 환경 화학적 환경 생물적 환경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리적 환경은

 

온도의 조절이 해당되겠죠. 그래서 물리적 환경 즉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라고 했으니까 비닐하우스라든지 보일러 냉각기 등을 활용해서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요 광선 빛이 들어오는 양을 조절할 수 있죠. 그래서 인공 조명을 신설하거나 또는 들어오는 빛을 못 들어오게 차광 시설을 차광 시설이 광선을 조절하는 데 즉 물리적 환경을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고 할 수 있겠고요. 그다음에 산소 공급과 물의 순환 포기 시설이 있겠고, 그다음에 순환 펌프 시설이 여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화학적 환경

화학적 환경에는 유기물의 산화를 위한 여과 기능을 구비해야 되고요. 그다음에 양식 생물의 호흡과 유기물 분해 과정에 소비되는 용존산소의 공급이 필요한 공급 장치도 필요하다. 생물적 환경은 양식 생물 미생물 수초 수조 안에 있는 플랑크톤 기생충 병원성 세균 등이 폐쇄적 양식장의 대상 생물을 키우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생물적 환경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양식장의 환경과 관련해서 총정리를 해봤고요. 지금까지 양식장 환경에는 개방적 양식장 폐쇄적 양식장 두 가지가 있다라고 정리를 했습니다.

 

다음은 먹이에 대해서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양식 생물과 영양 공급에 대해서 한번 보도록 하겠는데요.해조류 같은 경우는  먹이를 공급하지 않죠. 그러면 어떤 걸 먹고 사느냐 해조류는 물속에 녹아 있는 영양 염류를 흡수해서 성장한다. 즉 먹이 공급이 필요하지 않다.


진짜 굴, 피조개, 가리비, 등의  자연 발생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여가 섭식하기 때문에, 따로 굴이나 피조개 가리비 등을
기르는 양식장에서도 마찬가지로 먹이 공급이 먹이 공급이 필요하지 않다라고 할 수 있겠고요.

 

어류 및 새우류는 엄청나게 많은 대상 생물을 좁은 공간에 가두어서 기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걸 우리가 지박적 양식이라고 얘기를 하죠.

 


그다음에 지박적 양식이라고 할 경우에는 원하는 크기까지 성장을 시켜야 됩니다. 그래서 과 영양이 균형을 이룬 사료 공급이 필요하다 즉 어류라든지 각각류를 양식할 때에는 사료 공급이 필요하다라고 할 수 있겠네요. 사료의 종류에 대해서 한번 보도록 하겠는데요.

 

생사료 VS 배합사료

사료에는 생사료와 배합사료가 있습니다. 생사료는 대상 생물의 크기를 고려해서 먹는 입의 크기라든지 양을 고려해서 잘라서 주는 건데요. 주로 고등어라든지 생사료는 주로 고등어 또는 값싼 까나리 까나리 등을 대상 생물에 따라서 통째로 또는 잘게 썰어서 잘게 썰어서 먹이로 사용하는 먹이로 사용하는 것을 우리가 생사료라고 얘기를 합니다.


그래서 고등어 까나리 등을 통채 통째로 또는 잘게 썰어서 잘게 썰어서 대상 생물에게 직접 공급해 주는 걸 생사료라고 얘기를 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생사료를 사용하게 되면 연근의 업의 자원 고갈에 문제가 있겠죠. 그래서 작은 치어라든지 또는 대상 생물에게 배합 사료를 주지 않고 생사료를 주게 되면 그것 또한 오적 자원을 소비하는 하나의 일환이 되기 때문에 자원 고갈과 문제가 있고 그다음에 이러한 생사료는 해저를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해저를 오염시킬 수 있는 해저 오염물질을 왜냐하면 생사료가 또 해저에 많이 먹지 않고 가라앉게 되면 이게 자연스럽게 부패가 돼서 부패가 돼서 물을 오염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생사료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금은 대부분이 배합 사료를 사용하고 있다. 배합사료라는 것은 영양소를 고르게 공급할 수 있도록 섞어서 다양한 성분의 성분의 즉 사료가 되는 성분을 섞어서 만든 것을 우리가 배합 사료라고 얘기를 하고요. 배합 사료의 조건은 그러면 양쪽으로 충분해야 된다.

 

그러니까 사료의 원료가 되는 게 충분히 많아야 되고 양식 동물의 필요 성분을 고루 갖추어야 한다 그다음에 쉽게 변질되지 않고 저장해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어야 된다라는 게 이 배합 사료의 조건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선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합사료와 사료계수  (0) 2023.03.08
폐쇄적 양식장  (0) 2023.03.08
활어의 운반법과 양식장의 환경  (0) 2023.03.08
개방적 양식장의 환경특성  (0) 2023.03.07
수산생물의 축양  (0) 2023.03.07